내가 받을 수 있는 기초연금 모의계산기로 미리 확인하기

기초연금을 신청하기 전에 예상 금액을 미리 알 수 있다면 좋겠죠? 2024년 기준 단독가구 최대 334,810원, 부부가구 최대 535,680원까지 받을 수 있는 기초연금, 과연 본인은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1. 소득평가액 계산하기

근로소득 계산

  • 급여명세서 준비: 월급여액, 상여금, 수당 포함
  • 근로소득 공제: 월 110만원 공제 후 반영

기타소득 계산

  • 사업소득: 연간 매출액에서 필요경비 제외, 월평균 계산
  • 재산소득: 이자수입, 임대수입, 연금수입 포함
  • 공적이전소득: 국민연금, 공무원연금 등 기타 연금수입

2.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 계산

일반재산 계산

  • 부동산 가치: 공시지가, 건물 시가표준액, 토지 시가표준액 확인
  • 기본재산 공제: 대도시 1억 3,500만원, 중소도시 8,500만원, 농어촌 7,250만원

금융재산 계산

  • 금융자산: 예금, 주식, 보험 해약환급금
  • 공제: 2,000만원 공제 후 부채 차감

자동차 재산 계산

  • 자동차 기준: 차량가액, 연식, 배기량 고려
  • 제외 차량: 생업용, 장애인용, 10년 이상 차량

3. 소득인정액 산정하기

계산 공식: 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 +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

  • 근로소득: 공제 후 실제 수령액 기준
  • 재산 소득: 기본재산 공제, 금융재산 공제 등 적용

4. 예상 수급액 확인하기

단독가구 기준

  • 0~68만원: 최대 334,810원
  • 68~213만원: 차등 지급

부부가구 기준

  • 0~108.8만원: 최대 535,680원
  • 108.8~340.8만원: 차등 지급

5. 온라인 모의계산 활용하기

복지로 웹사이트

  1. www.bokjiro.go.kr 접속
  2. 기초연금 메뉴 선택 후 모의계산 진행

국민연금공단 웹사이트

  1. www.nps.or.kr 접속
  2. 모의계산기를 통해 예상 수급액 확인

결론

기초연금 모의계산은 복잡해 보이지만, 단계별로 차근차근 진행하면 충분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. 정확한 소득과 재산 정보를 입력해 예상 금액을 확인하고, 기초연금 신청 여부를 결정하세요. 자세한 정보는 복지로(129) 또는 국민연금공단(1355)에 문의해보세요!

Leave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