매월 200만원씩, 최대 240일동안 받을 수 있는 기회, 놓치고 계신가요? 2024년 실업급여 평균 수급액이 전년 대비 15% 증가했다는 사실! 하지만 신청자의 35%가 서류미비로 수급이 지연되고 있어요. 소중한 당신의 권리, 이번이 아니면 다시 찾기 어려울 수 있어요. 지금 바로 실업급여 신청부터 수급까지 모든 것을 함께 알아볼까요?
📊 실업급여 주요 변경사항
구분 2023년 2024년 비고 상한액 일 66,000원 일 70,000원 6% 증가 하한액 최저임금 80% 최저임금 80% 동일 지원기간 120~240일 120~240일 동일
실업급여 주요 변경사항
실업급여 받을 수 있는 자격조건
✅ 기본 자격요건 체크리스트
항목 내용 주의사항 이직사유 권고사직/계약만료/폐업 자발적 퇴사 제외 피보험기간 최근 18개월 중 180일 이상 일용직 별도기준 구직활동 2주 1회 이상 필수 증빙서류 필요
기본 자격요건 체크리스트
실업급여 금액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
📊 급여 산정 방법
평균임금 지급률 일일상한액 월 예상금액 250만원 미만 60% 70,000원 최대 210만원 250만원 이상 60% 70,000원 최대 210만원
급여 산정 방법
실업급여 신청절차 완벽가이드
📝 신청 단계별 체크리스트
퇴사 후 신고: 사업주가 이직확인서 제출
고용센터 방문예약: ☎1350 또는 온라인 예약
수급자격 신청: 필수서류 구비
실업인정: 2주 1회 의무
구직활동 보고: 활동내역 증빙
필요서류
신분증
이직확인서
통장사본
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
퇴직금 명세서
실업급여 구직활동 인정범위 및 방법
✅ 인정되는 구직활동
활동유형 인정여부 필요서류 입사지원 ○ 지원이력 면접참여 ○ 참여확인서 직업훈련 ○ 수강증 취업박람회 ○ 참가확인서
인정되는 구직활동
실업급여 수급 중 주의사항
⚠️ 실업급여 중단되는 경우
취업한 경우 (일용직 포함)
구직활동 미이행
해외체류
진단서 미제출
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
Q: 실업급여는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? A: 퇴사 후 신청일로부터 7일간의 대기기간 후 지급 시작해요.
Q: 실업급여 받으면서 아르바이트 할 수 있나요? A: 월 소득이 기준보수의 60% 미만이면 가능해요. 단, 반드시 신고해야 해요!
Q: 구직활동은 꼭 해야 하나요? A: 네, 2주에 1회 이상 필수예요. 미이행 시 해당 기간 급여가 지급되지 않아요.
[실업급여 관련 문의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