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년 기준 기초연금 최대 지원금이 월 32만원으로 인상됐어요! 하지만 정작 자신의 소득인정액이 얼마인지 몰라 신청을 망설이시나요? 지금부터 소득인정액 계산방법을 쉽게 알려드릴게요.
1. 소득인정액 계산공식
기본 공식:
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 + 재산의 소득환산액
구분 | 계산방법 | 비고 |
---|---|---|
소득평가액 | 0.7 × (근로소득 – 110만원) + 기타소득 | 근로소득 공제 적용 |
재산의 소득환산액 | (재산 – 기본재산액) × 연 4% ÷ 12 | 지역별 차등 적용 |
2. 소득평가액 세부내역
소득평가액 계산을 위해 근로소득 공제와 기타 소득 내역을 확인하세요.
소득 구분 | 공제율 | 비고 |
---|---|---|
기본공제 | 110만원 | 전액공제 |
추가공제 | 30% | 기본공제 후 적용 |
3. 지역별 기본재산액
거주 지역에 따라 기본재산액이 다르게 적용돼요. 대도시와 중소도시, 농어촌 지역의 기준을 확인하세요.
지역 | 기본재산액 | 예시 지역 |
---|---|---|
대도시 | 1억 3,500만원 | 서울, 부산(구) |
중소도시 | 8,500만원 | 경기도(시) |
농어촌 | 7,250만원 | 군 지역 |
4. 특수재산 처리방법
자동차 등 특수재산에 대한 소득환산율을 확인하세요.
결론
이제 자신의 소득인정액을 직접 계산해보세요! 계산이 어려우시다면 국민연금공단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아요. 지금 바로 위의 계산기로 확인해보세요!